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심리학1 - 심리학 기초

by 텐포텐 2023. 3. 28.

심리학의 정의

심리학은 일반적으로 인간의 영혼과 행동을 관찰하고 정신의 과정과 심리의 과정을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이라고 정의됩니다. 인간이 관계된 모든 분야에는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인간의 행동과 사고에 관한 연구인 심리학의 학문적 뒷받침이 요구되기 때문에 공학, 자연과학, 인문과학, 예술 등 여러가지 분야에서 사용됩니다. 특히 시간이 지남에 따라 엄청난 정보화 사회가 되면서 인간 삶의 질에 관계된 문제들이 더욱 중요해지고있습니다. 그 문제들에 대표적인 예시로는 성격, 지각, 적성, 지능, 감각, 사고 등 인간의 특징들이 고려되어야하는 모든 것들이 있습니다. 미래 사회에서는 인간의 기저원리를 밝히는 심리학이 현재 사회보다 더 많이 다뤄질 것입니다. 심리학은 연구 분야에 따라 큰 틀로 '기초심리학(심리학의 기초 원리와 이론을 다루는 심리학)'과 '응용심리학(원리와 이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심리학)'으로 나뉩니다. 과학적인 절차를 수용하기 시작한 근대 심리학 이후에는 적어도 '행동에 대한 과학'이라는 정의도 빼놓을 수 없습니다.

심리학의 성립

심리학의 아버지라고 흔히 불리는 분트는 1879년에 라이프치히 대학에 첫 심리학 연구소 정신물리실험실을 개설하였습니다. 그는 심리학을 연구하는 방법론으로 '내성법'을 주장하였습니다. 러시아의 파블로프는 유명한 고전적 조건형성 실험을 통하여 학습 과정을 연구하였고, 에빙하우스는 베를린 대학에서 기억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또한 미국의 철학자 제임스는 <심리학의 원리>를 1890년에 출간하였으며 그는 심리학에서 다루는 주요 문제들에 초점을 맞추어서 이 책을 저술하였습니다. 

심리학의 역사

'심리학'이라는 개념을 사용하지 않았을 뿐이고 심리학에 대한 생각은 기원 전부터 계속 있어왔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현대 심리학의 정립 이전에 있던 심리학은 경계가 모호하였고 철학자들만이 다루는 영역으로 간주되어 있었기 때문에 흔히 접할 수는 없었습니다.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는 인식론에 관한 문제들을 다루었고 그 논쟁은 르네상스 이후 데카르트와 스피노자에게까지 이어지게 되었습니다. 특히 데카르트는 유명한 심과 신의 문제에 있어서 이원론을 주장함으로써 마음과 몸이 별개의 실체임을 주장하였기때문에 마음에 대한 경험과학적 탐구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현대심리학의 입장과는 조금 다른 입장을 갖고 있었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이븐 알하이탐은 파티마 칼리파조의 선구적인 과학자로 1010년에 <광학>을 출간했습니다. 거기에서 실험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심리학적인 개념으로서의 시각을 설명하고있습니다. 크로아티아의 휴머니스트 마르코 마루릭은 조건을 사용한 그의 작업목록을 남겼지만 그 내용이 소실되었습니다. 그리고 60년 후에 독일 스콜라 철학자 루돌프 괴델은 1590년에 출간한 그의 저서에서 처음으로 조건을 사용한 심리 실험을 다루었습니다. 독일의 볼프는 형이상학 철학자입니다. 그는 그의 저서 <심리 실험과 심리 추론>을 1732-1734년에 출간함으로써 조건을 사용한 실험은 일반적인 심리 실험의 방법이 되었습니다. 디드로는 이런 심리 추론과 심리 실험의 차이점에 대해서 그의 <백과사전>에 기술하였고 비랑에 의해서 프랑스에 알려지게 되었습니다. 영국의 의사 윌리스는 정신과적 치료 목적으로 뇌기능을 연구하면서 정신의 법칙을 다루는 학문으로 심리학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였습니다. 이후 19세기에 이르러 심리학은 철학에서 완전히 분화되어 과학의 한 분야로 자리잡게 되었습니다.

 

심리학의 연구방법론

심리학도 다른 사회과학 분야들처럼 양적 연구방법과 질적 연구방법 두가지 모두를 사용합니다. 전자인 양적 연구 방법은 주로 기초 분야 전공자들에 의해 많이 사용되지만 양자가 혼용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후자인 질적 연구 방법은 임상가들에 의해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양적 연구방법은 연구 대상의 특성을 계량화, 수치화하기에 용이한 경우 흔히 사용되는데 이 연구방법이 적합한 예시로는 반응시간 연구, 지능 연구와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이 연구방법은 통계학의 지식들을 이용하여 연구 대상의 특셩을 기술하고 예측하는 것이 주된 목적입니다. 심리학에서 주로 사용되는 양적 연구방법론에는 IRT(문항반응이론), 다층 모형, 구조방정식모형, 경로분석, 요인 분석 등이 있습니다. 양적 연구방법론의 가장 큰 강점은 일반화하기가 용이하다는 점입니다. 한편 질적 연구방법은 소수의 사례를 깊이있게 분석하는 것이 주된 목적으로 임상가들에 의해 사용됩니다. 질적 연구방법론에서는 상담, 질문지 작성 등의 방법을 흔히 사용하며 연구대상의 심리적 상태를 심도있게 기술합니다. 심리학이 사용하는 방법의 과학성은 심리학을 경험과학답게 만들어주는 아주 중요한 특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여러가지 심리학

심리학에는 형태주의 심리학, 프로이트와 정신분석 심리학, 행동주의 심리학, 인본주의 심리학, 인지주의 심리학 등이 있으며 분야로는 과학자형 모델로 대표되는 기초 심리학, 전문가형 모델로 대표되는 응용 심리학, 과학자-전문가 모델을 전제하는 임상 심리학, 정신적 문제를 가진 사람들을 진단하거나 심리적 부담을 지원함으로써 문제를 극복하고 성장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기관, 학교, 기업 등에서 흔하게 사용하는 상담 심리학이 있습니다. 이들에 관해서는 다음 글에서 자세히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