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20 심리학8 - 주요이론(4) 방어기제 1. 방어기제 방어기제는 받아들일 수 없는 잠재적 불안의 위협에서 자신 스스로를 보호하기 위해 실제적인 욕망을 무의식적으로 조절하거나 왜곡하면서 마음의 평안을 찾기 위해 사용하는 심리학적 메커니즘입니다. 불안은 자아에 위험이 있음을 알리는 신호입니다. 이 불안은 세가지 자아 간의 갈등으로 끊임 없이 야기됩니다. 자아는 충동적으로 쾌락을 추구하는 원초아와 완벽성을 추구하는 초자아와의 갈등을 감소시키려고 노력하는데 이것은 불안을 피하려는 것입니다. 프로이트는 모든 행동이 본능에 의해 동기화되는 것처럼 불안을 피하려고 한다는 점에서 방어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다고 보았습니다. 인간은 갈등에서 비롯된 불안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서 다양한 방어기제를 사용합니다. 무엇이 위협적인지가 분명하지 않은 상황이나 자아.. 2023. 3. 29. 심리학7 - 주요이론(3) 트라우마 1. 의학용어 - 외상 육체적 상처를 physical trauma, 정신적 상처를 psychological trauma 라고 부릅니다. 큰 상처를 뜻하는 라틴어로 트라우마가 말의 뿌리입니다. 원래 상처라는 뜻의 고대 그리스어에서 유래하였습니다. 2. 마음의 상처 과거에 경험했던 공포의 순간이 발생했을 때 당시의 감정을 다시 느끼면서 심리적인 불안을 겪는 증상을 말합니다. 트라우마는 정신적 외상의 의미가 큽니다. 한국과 일본에서는 정신적 외상만을 가리키는 말로 의미가 좁혀져서 사용되는데 영미권에서는 물리적 외상이라는 의미로도 쓰이고, 응급실을 지칭하는 단어로 '트라우마 센터'를 사용하기도 하기 때문에 주의해야 합니다. 아동학대나 언어폭력, 성폭력같은 마음의 상처를 많이 받으면 성격이 거칠어지고 부정적으로 .. 2023. 3. 29. 심리학6 - 주요이론(2) 자아 자아는 생각과 감정 등을 통해 외부와 접촉하는 행동의 주체로서의 '나 자신'을 말합니다. 정신분석 이론의 발달에서 중요한 용어입니다. 자아는 초기 의미와 후기 의미 두 가지 모두 사용되고 있습니다. 프로이트는 그의 초기 저술에서 자아를 때때로 전체 자기를 나타내는 데에 사용했습니다. 그것은 여러 생각이 하나로 조직화 됐다는 것을 의미했습니다. 이것들 중 어떤 것들은 의식에 의해 수용되는데 이것들이 자아를 구성합니다. 다른 것들은 수용되지 못하고 무의식으로 분류되기 때문에 프로이트의 초기 자아 개념에서는 방어가 자아의 핵심 기능들 중 하나라고 강조합니다. 1. 철학에서의 자아 우리 일상의 모든 경험(감각, 사고, 행동)의 밑바닥에 있는 모든 경험을 통일하여 그 경험들을 하고 있는 당사자라고 생각되는 의심할.. 2023. 3. 29. 심리학5 - 주요이론(1) 무의식 무의식 또는 비의식은 자신과 주의 환경에 대해 자각이 없는 상태를 말합니다. 자신이 의식하지 못하는 두뇌의 활동이며 사고 과정, 기억, 동기 따위 없이 자동적으로 발생하거나 작동할 수 있는 심리적, 정신적 작용입니다. 이 개념은 오스트리아의 신경학자이자 정신 분석학의 창시자인 지그문트 프로이트에 의해 대중화 되었습니다. 정신분석학 이론에서 무의식적 작용은 꿈이나 농담 따위를 통해 직접적으로 나타난다고 이해됩니다. 프로이트가 제창한 정신분석학이나 카를 융이 제창한 분석심리학에서 무의식은 '마음 속의 의식이 아닌 영역'입니다. 비정신분석학적 학문들에서는 무의식적 활동이란 의식적 자각에 전적으로 따르지 않는 정신적 활동을 뜻하는 말로 사용합니다. 비의식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인지과학 연구자들은 사람.. 2023. 3. 29. 이전 1 2 3 4 5 다음